2025년 현재, 탄소중립은 기업은 물론이고 비영리단체와 사회적 기업에도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기후위기 대응은 단순히 환경단체나 대기업의 몫이 아니며, 사회 전체가 탄소 감축과 지속가능성에 기여하는 구조로 전환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비영리단체와 사회적 기업은 공공성·지속성·투명성을 핵심 가치로 삼는 만큼, 탄소배출권을 단순히 환경 지표로써가 아니라, 조직의 임팩트와 재정적 자립을 위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 있다.
과거에는 탄소배출권 거래가 민간 대기업이나 산업시설 중심으로 이루어졌지만, 2024년부터는 외부사업 제도, 자발적 감축 등록제, 탄소포인트 디지털화 등으로 인해 비영리 주체도 실제로 감축 실적을 인증받고, 탄소배출권(KCU, KOC 등)을 확보해 수익화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또한 탄소 감축 실적은 ESG 평가, 기부처 인증, 글로벌 펀딩 유치, 지방정부와의 파트너십 확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직에 도움이 된다.
본 글에서는 탄소배출권을 비영리단체나 사회적 기업이 어떻게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 실질적인 활용 모델, 수익화 가능성, 정책 연계 전략, 주의할 점 등을 4가지 핵심 문단으로 나눠 구체적으로 안내한다.
비영리단체와 사회적 기업이 탄소배출권을 확보할 수 있는 실질적인 경로
많은 비영리 단체는 자신들의 탄소 배출량이 적다는 이유로 배출권 거래와 무관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2025년 현재, 배출량이 적더라도 탄소 감축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면 외부사업이나 자발적 상쇄시장(Voluntary Market)에 참여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 있다.
외부사업 인증 제도는 탄소배출권 거래제(K-ETS)에 포함되지 않은 주체들이 감축 실적을 환경부에 인증받아 KCU(Korean Credit Unit)를 발급받는 제도다. 비영리단체도 사무실, 복지관, 문화센터 등 자체 운영 시설에서 에너지 절감 활동을 실천하거나, LED 조명, 콘덴싱 보일러, 태양열 온수기 같은 고효율 설비를 교체하는 방식을 통해 실적을 인정받을 수 있다. 또한 전기차 도입이나 친환경 수송수단 전환, 폐기물 절감 및 재활용 시스템 구축 등도 감축 활동으로 인정받는다. 이 같은 활동을 사전 계획서와 실제 절감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경부에 등록하면, 연간 수 톤 규모의 감축 실적을 KCU로 전환할 수 있다.
아울러 비영리단체가 기획한 탄소 감축 프로젝트를 자발적 상쇄시장(VMO)에 등록해 민간 기업에 판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ESG 경영에 민감한 기업들은 장애인 지원센터, 마을기업, 친환경 교육기관 등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프로젝트의 감축 실적을 선호한다. 이처럼 사회적 가치가 부각된 감축 실적은 일반적인 기업 프로젝트보다 더 높은 가격에 크레딧을 거래할 수 있는 가능성도 열어준다.
따라서 비영리단체도 적극적으로 외부사업 등록과 자발적 상쇄시장 참여를 통해 탄소 감축 실적을 인정받고, 수익화와 ESG 가치 제고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탄소배출권을 수익화하고 조직 역량을 강화하는 실전 전략
탄소배출권은 단순한 환경 지표를 넘어 조직이 직접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중요한 자산이다. 비영리단체와 사회적 기업이 탄소배출권을 수익화하고 조직 운영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첫째, 탄소 감축 활동을 체계적으로 정량화하는 것이 우선이다. 이를 위해 전기요금, 가스 사용량, 연료 소비량 등 에너지 사용 데이터를 꼼꼼히 관리해야 한다. 이렇게 확보한 감축 실적을 바탕으로 환경부 인증을 받아 KCU(Korean Credit Unit)를 발급받고, 이후 블루카본코리아, 우리탄소와 같은 민간 거래 플랫폼을 통해 톤당 4만 원에서 6만 원 수준으로 매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질적인 재무적 수익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감축 실적과 배출권 확보는 ESG 보고서와 기부자 대응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정량적 실적은 조직의 책임성과 지속가능성을 입증하는 신뢰할 만한 지표로서, 국내외 기부처나 CSR 파트너사들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특히 ESG 평가에서 환경(E) 항목의 구체적인 감축 실적을 증빙할 수 있는 조직은 매우 드물기 때문에, KCU나 감축량 인증서는 보고서의 설득력을 크게 높이는 핵심 자료가 된다.
셋째, 지방정부 및 공공기관과의 연계 사업에 참여하는 것도 중요한 전략이다. 환경부, 각 지자체, 탄소중립센터 등은 감축 실적을 보유한 사회적 기업과 비영리단체를 대상으로 탄소중립 실증 사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이런 협업 기회는 단순한 배출권 매각을 넘어 조직의 사업 영역 확대와 파트너십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탄소배출권은 매각을 통한 수익 창출뿐 아니라 ESG 보고서 강화, 사업 참여 확대, 파트너십 구축 등 조직 경쟁력 전반을 높이는 핵심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다. 비영리단체와 사회적 기업은 이러한 전략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과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비영리 주체의 탄소배출권 실행 전략과 실무 가이드
비영리단체와 사회적기업은 제한된 인력과 자원 때문에 모든 탄소 정책을 따르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핵심 사항을 선별해 실현 가능한 전략을 빠르게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첫째, 감축 대상 항목을 선정해야 한다. 보통 전기, 난방, 수송 부문이 주요 대상이 된다. 과거 1년간의 에너지 사용량 자료를 꼼꼼히 수집하는 것이 시작점이다. 둘째, 에너지 절감을 위한 설비 도입과 관련 비용, 정산 내역 등 증빙 자료를 확보해야 한다. 셋째, 감축 실적을 구체적인 수치로 정리한다. 엑셀 시트나 전문 에너지 진단 도구를 활용해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넷째, 환경부가 운영하는 외부사업 플랫폼에 감축 실적을 등록해 KCU 인증서를 발급받는다. 이후에는 민간 거래 플랫폼에 등록하여 매수자를 찾아 크레딧을 매각해 실질적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확보한 감축 실적과 인증서는 ESG 보고서, 기부처 보고서, 정부 공모사업 신청서 등에 반영해 조직의 신뢰도를 높이고 추가 지원을 받는 데 활용한다.
실무적으로는 기록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영수증, 설비 사진, 사양서, 요금 고지서 등 모든 관련 자료는 감축 실적 인증의 핵심 증빙자료가 된다. 감축 활동은 혼자만의 노력이 아니라 협업을 통해 확대할 수 있으며, 반드시 감축 실적을 인증받고 관련 보고서에 체계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또한 환경부, 탄소중립지원센터, 지역 테크노파크에서는 탄소 관련 교육, 컨설팅, 무료 에너지 진단 등을 지원하므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지원을 통해 비영리단체와 사회적기업도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탄소 감축 전략을 실현할 수 있다.
'탄소중립 산업·비즈니스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자 관점에서 본 탄소배출권: 기후 행동에 대한 인식 변화 (0) | 2025.07.20 |
---|---|
탄소중립 선언 기업이 배출권을 줄이는 실천 사례 (0) | 2025.07.14 |
ESG 경영과 탄소배출권: 중소기업의 실천 전략 (0) | 2025.07.05 |
2025년 기업이 탄소배출권을 구매해야 하는 이유 (1) | 2025.07.03 |
소규모 제조업체가 탄소배출권을 확보하는 방법 (0)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