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현재, 탄소배출권은 단순한 환경 규제 수단을 넘어, 글로벌 자산시장과 ESG 투자, 탄소국경세(CBAM) 대응, 국제개발 협력의 핵심 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 이제 기업과 정부는 자국 내에서 탄소를 감축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해외 감축 실적까지 고려한 글로벌 감축 전략을 수립해야 하는 시대에 접어들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자주 혼용되거나 비교되는 개념이 바로 ‘국제 탄소배출권(CDM, VER)’과 ‘국내 탄소배출권(KAU, KCU, KOC)’이다. 두 제도 모두 감축 실적을 정량화하고 거래하는 구조를 가지지만, 그 법적 효력, 등록 기관, 사용 용도, 인정 범위, 거래 가능성 등에서 근본적인 차이점을 갖는다. CDM(청정개발체제)과 VER(자발적 감축 배출권)은 국제적으로 거래되며, 주로 ..